1. 호흡계의 구조와 기능
- 호흡⇒ 기도 ⇒ 기관지 ⇒ 폐포
- 흡입된 공기와 폐 모세혈관을 통과하는 혈액 사이에서 산소는 혈액으로, CO2는 폐포로 확산된다.
1) 기도와 폐포
- 호흡기의 구성
-> 기도, 폐포, 흉곽
- 공기의 전달 과정
-> 구/비강⇒ 인두 ⇒ 후두 ⇒ 기관 ⇒ 기관지 ⇒ 세기관지 ⇒ 폐포
- 폐포관(alveolar duct)
-> 직경 0.1~0.2mm 정도의 공기 주머니(폐포)가 포도송이 모양으로 형성
2) 내호흡과 외호흡
- 생명 유지를 위해 음식에 포함된 고분자 물질이 산화과정으로 분해되어 유리되는 화학에너지를 만들어야 함.
- 산화과정에 필요한 산소 섭취
- 산화과정의 부산물(CO2) 배출
- 호흡(respiration) 이란?
- 인체가 산소를 얻고 CO2를 배출하는 것
- 폐환기, 폐포공기와 혈액 사이의 가스 교환, 혈액에 의한 산소와 CO2의 운반
- 혈액과 조직 세포 사이의 가스 교환, 조직 세포의 산소 이용과 CO2 생산 과정 포함
외호흡
|
내호흡
|
② 폐포 공기와 혈액 사이의 가스 교환 ③ 혈액에 의한 산소와 CO2의 운반 |
② 조직세포의 산소 이용과 CO2 생산 과정 포함 |
대기와 폐포 사이의 기체교환으로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고 대기로 CO2를 배출하는 과정이다.
|
혈액과 조직세포 사이의 기체교환으로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고 혈액으로 CO2를 배출하는 과정이다.
|
2. 호흡역학
:공기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 숨을 들이마시려면 폐내압을 대기압보다 낮게 하는 방법(정상호흡) 대기압을 폐내압보다 높게 하는 방법(임상호흡)이 있다.
1) 흡기 작용
- 흉곽의 용적은 증가
- 횡격막 수축, 아래 방향 이동
- 외늑간근의 수축에 의해 늑골을 위로 올리고 바깥쪽으로 내밈
- 폐는 팽창되고 폐내압이 감소하고 공기가 폐 속으로 들어감
2) 호기작용, 안정시
- 횡격막과 외늑간근은 이완
- 흉강은 원래의 크기로 돌아감
- 수동적이며, 호기근육은 관계치 않음
- 흡기로 인해 신전되었던 흉벽이 폐의 탄성 조직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위축됨
- 흉강 내압 증가로 인해 공기가 폐 속에서 대기로 나감
3) 운동시 호기 작용
- 능동적
- 특히 복부근에 의해 촉진
-> 복부근의 수축에 의해 하위 늑골을 압박
- 복압이 상승하여 횡격막을 흉강 쪽으로 밀어 올림
안정시와 운동시 주요 호흡근의 작용
호흡단계
|
안정시 활동근
|
운동시 활동근
|
작용
|
흡기
|
횡격막, 외늑간근
|
횡격막, 외늑간근, 사각근, 흉쇄유돌근부
|
|
호기
|
없음
|
내늑간근, 복부
|
|
3. 호흡계의 작용
1) 분당 환기량(minute ventilation)
- 1분 동안 흡기와 호기되는 공기의 양
-> 결정할 때 편의상 호기량 사용
- 1회호흡량(tidal volume)과 분당호흡수(respiratory frequency: f)에 의해 결정
VE(ℓ/min) = TV(L) × f(회)
분당환기량 1회 호흡량 분당호흡수
안정시와 운동시 환기량
안정시 환기량
|
장시간 지속적 지구력 운동시
|
-> 약 12회 정도 - 1회 호흡량 -> 약 0.5L 정도 |
|
2) 폐용적과 폐용량
폐용적의 구성 항목과 정의
항 목
|
정 의
|
성인 남성 수준
|
일회 호흡량
(tidal volume: TV) |
안정 상태에서 1회에 들이 마시거나 내쉬는 공기의 양
|
약 500ml
|
흡기예비용적(inspiratory reserve volume: IRV)
|
일회 호흡량을 들여 마신 후에 다시 최대로 들이쉴 수 있는 공기량
|
약 3,300ml
|
호기예비용적(expiratory reserve volume: ERV)
|
일회호흡량을 내쉰 후에 다시 최대로 내쉴 수 있는 공기량
|
약 1,200ml
|
잔기량(residual volume: RV)
|
호흡을 통하여 폐내 공기를 배출한 후에도 폐내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량
|
약 1,200ml
|
폐용량의 구성 항목과 정의
항 목
|
정 의
|
계 산 식
|
흡기용량(inspiratory capacity: IC)
|
정상 호흡에서 최대한 흡입할 수 있는 양
|
TV + IRV
|
기능적 잔기용량(functional residual capacity: FRC)
|
평상 호흡에서 TV를 배출한 후 폐 내에 남아있는 공기량, end-tidal volume 수준
|
ERV + RV
|
폐활량(vital capacity: VC)
|
최대한 공기를 들이마신 후 최대한 배출시킬 수 있는 양
|
IRV + TV + ERV
|
총폐용량(total lung capacity: TLC)
|
최대한 공기를 흡입하였을 때 폐 내에 존재하는 공기량
|
VC + RV
|
3) 기능적 환기 용량
- 측정법
- 강제호기량(forced expiratory volume: FEV) or
- 최대 수의적 환기량(maximal voluntary ventilation: MVV) 측정으로 가능
(1) 강제호기량 (forced expiratory volume: FEV)
- 최대로 숨을 들이마신 후 가능한 한 신속하게 최대로 숨을 내쉴 때 1초 또는 3초간 배출되는 양
- 보통은 1초 후에 호출된 기체량(FEV1)을 강제폐활량에 대한 %(FEV1/FVC)로 나타냄
- 20대에 0.80, 40대에 0.75, 60대에 0.70
- 강제 호기량과 환기 장애
: 강제호기량 비율은 기도저항에 민감한 지표로서, 천식 등에 의한 기관지 확장증(bronchodilator)의 반응 평가에 유용한 지표
-> 폐쇄성 환기 장애
- 폐섬유증과 같은 폐의 섬유성 결합조직 증식 때
ⓐ 폐활량은 감소하나 강제호기량은 거의 변화 없다
ⓑ 저항성 환기 장애
(2) 최대 수의적 환기량
- 최대수의적 환기량 (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: MVV) 이란?
- 단위 시간 내에 호흡할 수 있는 최대한의 공기용적
- 피검자가 호흡근을 조절하고 폐에서의 저항을 극복하는 능력
- 12초 또는 15초 동안 호흡할 수 있는 최대한의 공기량을 측정
- 분당환기량(ℓ/min)으로 환산
ⓐ 12초로 실험한 경우
-> 12초 × 5배수 = 60초
-> 체내상태(BTPS, ℓ/min)로 기록
- MVV는 최대운동 중의 최대환기량보다 높다.
ⓐ 환기능력과 최대산소섭취량과는 무관
ⓑ 폐질환자, 노인은 MVV 감소로 VO2max제한 받음
-> MVV가 개인별 예측치의 80% 이하로 떨어지면 기도 장애를 의심
(3) 폐포 환기와 해부학적 사강
- 폐포환기(alveolar ventilation)
: 폐포에 도달한 공기만이 기체교환에 참여하여 혈액에 산소를 공급해 주고 생성된 CO2를 제거해 주는 일을 함
- 해부학적 사강(anatomical dead space)
: 호흡 경로에 남아 있으면서 기체교환에 참여하지 않는 공기를 지니고 있는 공간
- 안정시 남자는 평균 0.15L , 여자는 0.10L 정도
- 안정시 들이마시는 공기 0.5L의 70%인 0.35L 정도만이 폐포환기에 참여
- 30%는 사강에 잔류
=> 분당환기량이 동일해도 1회호흡량이 적고 호흡수가 많으면 폐포환기에 참여하는 공기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충분한 기체교환이 어렵다.
'트레이너가 알려주는 전문지식 > 운동생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운동과 폐기능 (1) | 2024.06.11 |
---|---|
에너지 대사와 운동 (2) | 2024.06.05 |
에너지 대사의 이해 (유산소성 해당작용) (0) | 2024.05.03 |
에너지 대사의 이해(무산소성 해당작용) (0) | 2024.05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