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위험인자
① 환자가 조절할 수 없는 위험 인자: 나이, 가족력
② 환자가 조절할 수 있는 위험인자: 비만, 활동량, 흡연, 염분 섭취, 스트레스 등
- 고혈압의 합병증
① 죽상경화증
② 동맥류
③ 심부전
④ 뇌졸중
⑤ 고혈압성 위기
⑥ 신장 손상
⑦ 시력 장애
⑧ 대사증후군
⑨ 기억력이나 이해력의 손상
03 고혈압의 치료
- 고혈압의 비약물적 치료
① 체중 감소
② 운동요법: 주 3회, 한번 시행 시 30분 정도의 속보 운동
③ 식이요법: 저염식, 칼륨 - 칼슘 섭취, 지방 섭취 감소
④ 금주, 스트레스 감소
- 고혈압의 약물 치료
①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저해제(Angiotensin-converting enzyme(ACE) inhibitor)
② 안지오텐신Ⅱ 수용체 차단제(Angiotensin Ⅱ receptor blocker)
③ 베타 차단제(Beta blocker)
④ 칼슘 채널 차단제(Calcium channel blocker)
⑤ 이뇨제(Diuretics)
⑥ 레닌 저해제(Renin inhibitor)
⑦ 알파 차단제(Alpha blocker)
⑧ 알파 - 베타 차단제(Alpha-beta blocker)
⑨ 혈관 확장제(Vasodilator)
008 당뇨병
01 혈당
- 포도당 : 우리 몽이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원
- 혈당 : 혈액 속의 포도당 농도
- 혈당의 조절
① 이자(췌장)에서 생산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에 의해 조절
② 인슐린 :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에 위치한 β세포에서 생산 ->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담당
③ 글루카곤 :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에 위치한 α세포에서 생산 -> 혈당을 높이는 역할을 담당
02 당뇨병
: 인슐린 분비량이 적거나, 인슐린의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대사질환의 일환으로 고혈당을 특징으로 함
- 제1형 당뇨병 : 자가면역기전에 의해 이자(췌장)의 β 세포파괴로 인슐린 결핍 발생
- 제2형 당뇨병 : 인슐린 저항성이 커지면서 인슐린의 작용이 원활하지 않아 고혈당과 상대적인 인슐린 분비 장애가 생김
제1형 당뇨병 vs 제2형 당뇨병
|
||
특징
|
제1형(인슐린 의존형)
|
제2형(인슐린 비의존형)
|
발생 비율
|
당뇨병의 2% 미만
|
당뇨병의 90% 이상
|
발생 연령
|
주로 소아 및 청소년 등 35세 이전
|
주로 40세 이후
|
체중
|
마른 체격
|
과체중이나 비만
|
원인
|
자가면역기전, 바이러스 감염 등
|
비만, 가족력, 신체활동 부족, 임신 당뇨병의 과거력 등
|
인슐린
|
인슐린의 결핍
|
인슐린의 기능 저하
|
발병 양상
|
갑자기 발병
|
천천히 진행
|
① 임산부의 3~14%에서 발생하며 혈액 중의 포도당이 정상 범위보다 높은 상태로서, 임신 중 처음 발견되거나 시작됨
②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되는 임신 24~28주에 발생하였다가 출산 후에는 사라지는 당뇨병의 한 형태
③ 임신성 당뇨병 여성의 5~10%는 보통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되며, 임신 당뇨병이 있었던 여성은 5~10년 이내에 40~60%의 당뇨 발생 기능성이 있음
- 기타 당뇨병 : 이자 - 내분비질환, 특정한 약물, 화학물질, 인슐린 혹은 인슐린 수용체 이상, 유전적 증후군에 의해 2차적으로 당뇨병이 유발되는 경우
03 당뇨병의 증상
- 다식, 다 갈(-> 다음), 다뇨(특히, 야간뇨)
- 기타 증상 : 체중 감소, 발기부전, 상처치유의 지연, 피로감 등
- 저혈당 증상 : 불안, 초조, 식은땀, 공복감 및 집중력 저하, 빈맥 및 심계 항진 등
04 당뇨병의 진단
- 검사 종류
① 공복 혈당 검사
② 경구 당부하검사 : 75g의 당 투여 후 2시간 후의 혈당 측정
③ 당화혈색소 검사 : 3개월 평균 당 수치를 측정
- 진단 기준
|
공복 혈당(mg/dL)
|
경구 당부하검사(mg/dL)
|
당화혈색소(%)
|
정상
|
< 100
|
< 140
|
< 5.7
|
당뇨병 전단계
|
100 ~ 125
|
140 ~ 199
|
5.7 ~ 6.4
|
당뇨병
|
≥ 126
|
≥ 200
|
≥ 6.5
|
- 임신성 당뇨병 진단 기준
① 경구강부하검사(100g 포도당 투여 후 1시간 간격으로 3시간 동안 혈당을 측정)
② 선별검사(50g 경구 당부하 검사): 혈중 포도당 ≥ 130 ~ 140 mg/dL 이면 이상 소견
③ 확진 검사(100g 경구 당부하 검사): 아래 기준을 2가지 이상 만족하면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
(1) 공복 혈중 포도당 ≥ 95mg/dL 이면 이상 소견
(2) 1시간 혈중 포도당 ≥ 180mg/dL
(3) 2시간 혈중 포도당 ≥ 155mg/dL
(4) 3시간 혈중 포도당 ≥ 140mg/dL
05 당뇨병의 합병증
-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
① 당뇨병성 케톤산증
② 고 삼투압성 고혈당 증후군
③ 저혈당증
-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
① 관상동맥질환(협심증, 심근경색)
② 뇌혈관질환(뇌졸중)
③ 말초혈관질환(파행)
④ 미세혈관 합병증(당뇨병 망막 병증, 당뇨병 신증)
⑤ 당뇨병 신경병증(말초신경 병증, 자율 신경 병증)
⑥ 당뇨성 족부 병변
06 당뇨병의 치료
- 약물 치료
① 인슐린 : 초속형, 속효성, 중간형, 지속형
② 경구용 혈당강하제
(1) 인슐린 분비 촉진제(설폰요소제, 메글리티나이드계)
(2)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(바이구아나이드, 타이졸리딘다이온, 알파-글루코 시다 억제제)
(3) 탄수화물 흡수 억제제
- 식이요법
① 목표 : 혈당과 지질 농도, 혈압을 목표 수준으로 유지
②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 : 체중 감량을 위해 단기간의 저 칼로리 식사가 효과적
- 운동요법
① 운동은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혈당을 낮추어 주고 제2형 당뇨병 위험 집단에서 당뇨병의 발생을 낮추어 줄 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에 걸리는 비율을 감소시킴
② 최소한 2~3일마다 시행하고 30~40분/일, 3~5회/ 주 혹은 150분/주 시행
③ 규칙적인 운동은 제1형 당뇨병에서도 필요하고 이로운 점이 많지만 간혹 호르몬에 의한 조절 기전이 소실되면서 문제를 야기하기도 함
④ 인슐린 농도가 매우 낮은 상태에서 운동을 하면 혈당이 급격히 높아져 케톤산증을 유발
⑤ 체외 인슐린 공급이 과다한 상태에서 운동을 하면 저혈당이 발생할 수도 있음
⑥ 신장병증이 있는 경우 운동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격렬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음
⑦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이 있는 환자는 발에 대한 보호 능력이 떨어지므로 체중 부하 운동은 피하도록 해야 한다.
009 대사증후군
01 정의
: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내당근 장애(당뇨병), 고혈압, 고지혈증, 비만, 죽상동맥경화증 등의 여러 가지 질환이 한 개인에게서 한꺼번에 나타나는 것
02 대사증후군의 원인
- 인슐린 저항성이 심하며,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상태로,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에는 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이 두 배 이상 높고, 당뇨병 발생할 확률은 10배 이상 증가
- 비만으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이 대사 증후군의 원인으로 가장 설득력 있음
인슐린 저항성의 영향
|
||
|
||
인슐린 저항성의 원인
|
||
|
03 대사증후군의 진단
요인
|
기준
|
|
복부비만
|
남자 허리둘레 90cm 초과, 여자 허리둘레 95cm 초과
|
|
고중성지방혈증(TG)
|
중성지방 150mg/dL 이상
|
|
낮은 HDL - C
|
남자 40mg/dL 미만, 여자 50mg/dL 미만
|
|
고혈압
|
수축기 혈압(SBP) : 130mmHg 또는
이완기 혈압(DBP) : 85mmHg 이상인 경우 |
|
내당능장애
|
공복 혈당이 100mg/dL 이상 또는 당뇨병 과거력, 약물 복용
|
04 대사증후군의 치료
- 생활습관의 개선 : 식사와 영양, 운동요법
- 관련 질환의 치료
① 고혈압의 치료
② 이상 지질혈증의 치료
③ 혈당 상승의 치료
④ 인슐린 저항성의 관리
'트레이너가 알려주는 전문지식 > 병태생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병태 생리학 6강 (1) | 2024.05.17 |
---|---|
병태생리학 4강 (0) | 2024.05.15 |
병태생리학 3강 (0) | 2024.04.15 |
병태 생리학 2강 (0) | 2024.04.05 |
병태생리학 1강(병태생리학의 배경과 개요) (0) | 2024.03.19 |